제1독서 요한묵시록 7,2-4.9-14 2 나 요한은 다른 한 천사가 살아 계신 하느님의 인장을 가지고 해 돋는 쪽에서 올라오는 것을 보았습니다. 그가 땅과 바다를 해칠 권한을 받은 네 천사에게 큰 소리로 외쳤습니다. 3 “우리가 우리 하느님의 종들의 이마에 인장을 찍을 때까지 땅도 바다도 나무도 해치지 마라.” 4 나는 인장을 받은 이들의 수가 십사만 사천 명이라고 들었습니다. 인장을 받은 이들은 이스라엘 자손들의 모든 지파에서 나온 사람들이었습니다. 9 그다음에 내가 보니, 아무도 수를 셀 수 없을 만큼 큰 무리가 있었습니다. 모든 민족과 종족과 백성과 언어권에서 나온 그들은, 희고 긴 겉옷을 입고 손에는 야자나무 가지를 들고서 어좌 앞에 또 어린양 앞에 서 있었습니다. 10 그들이 큰 소리로 외쳤습니다. “구원은 어좌에 앉아 계신 우리 하느님과 어린양의 것입니다.” 11 그러자 모든 천사가 어좌와 원로들과 네 생물 둘레에 서 있다가, 어좌 앞에 얼굴을 땅에 대고 엎드려 하느님께 경배하며 12 말하였습니다. “아멘. 우리 하느님께 찬미와 영광과 지혜와 감사와 영예와 권능과 힘이 영원무궁하기를 빕니다. 아멘.” 13 그때에 원로 가운데 하나가, “희고 긴 겉옷을 입은 저 사람들은 누구이며 어디에서 왔느냐?” 하고 나에게 물었습니다. 14 “원로님, 원로님께서 알고 계시지 않습니까?” 하고 내가 대답하였더니, 그가 나에게 말하였습니다. “저 사람들은 큰 환난을 겪어 낸 사람들이다. 저들은 어린양의 피로 자기들의 긴 겉옷을 깨끗이 빨아 희게 하였다.”
제2독서 요한1서 3,1-3 사랑하는 여러분, 1 아버지께서 우리에게 얼마나 큰 사랑을 주시어 우리가 하느님의 자녀라 불리게 되었는지 생각해 보십시오. 과연 우리는 그분의 자녀입니다. 세상이 우리를 알지 못하는 까닭은 세상이 그분을 알지 못하였기 때문입니다. 2 사랑하는 여러분, 이제 우리는 하느님의 자녀입니다. 우리가 어떻게 될지는 아직 드러나지 않았지만, 그분께서 나타나시면 우리도 그분처럼 되리라는 것은 알고 있습니다. 그분을 있는 그대로 뵙게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3 그분께 이러한 희망을 두는 사람은 모두, 그리스도께서 순결하신 것처럼 자신도 순결하게 합니다.
복음 마태오 5,1-12ㄴ 그때에 1 예수님께서는 군중을 보시고 산으로 오르셨다. 그분께서 자리에 앉으시자 제자들이 그분께 다가왔다. 2 예수님께서 입을 여시어 그들을 이렇게 가르치셨다. 3 “행복하여라, 마음이 가난한 사람들! 하늘 나라가 그들의 것이다. 4 행복하여라, 슬퍼하는 사람들! 그들은 위로를 받을 것이다. 5 행복하여라, 온유한 사람들! 그들은 땅을 차지할 것이다. 6 행복하여라, 의로움에 주리고 목마른 사람들! 그들은 흡족해질 것이다. 7 행복하여라, 자비로운 사람들! 그들은 자비를 입을 것이다. 8 행복하여라, 마음이 깨끗한 사람들! 그들은 하느님을 볼 것이다. 9 행복하여라, 평화를 이루는 사람들! 그들은 하느님의 자녀라 불릴 것이다. 10 행복하여라, 의로움 때문에 박해를 받는 사람들! 하늘 나라가 그들의 것이다. 11 사람들이 나 때문에 너희를 모욕하고 박해하며, 너희를 거슬러 거짓으로 온갖 사악한 말을 하면, 너희는 행복하다! 12 기뻐하고 즐거워하여라. 너희가 하늘에서 받을 상이 크다.”
![](http://bbadakin.cafe24.com/ehomp/img/line01.jpg)
임종을 앞둔 늙은 스승이 마지막 가르침을 주기위해 제자를 불렀습니다. 그는 제자에게 자신의 이 입 속을 보여주며 물었습니다.
“무엇이 보이느냐?”
“혀가 보입니다.”
“이는 보이지 않느냐?”
“스승님의 치아는 다 빠지고 하나도 남지 않았습니다.”
“이는 다 빠지고 없는데 혀는 남아있는 이유를 알겠느냐?”
“이는 단단하기 때문에 빠져버리고, 혀는 부드러운 특성 덕분에 오래 남는 것이 아니겠습니까?”
“그렇다. 부드러움이 단단함을 이긴다는 것, 이것이 세상을 사는 지혜의 전부이다. 이제 더 이상 너에게 가르쳐 줄 것이 없다. 항상 이것을 명심해라.”
부드러움이 단단함을 이긴다는 것은 이 자연 안에서도 쉽게 볼 수가 있습니다. 거대한 바위가 계곡물에 의해서 계속 깎여 나가 결국은 매끈한 바위로 변한 모습, 바람에 의해서 쓰러져버린 나무들, 다이아몬드를 자르는 칼이 물이라는 사실 등등…….
그런데 우리들은 이 일상의 삶 안에서 단단함만을 추구할 때가 너무나 많습니다. 그리고 그것이 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열쇠라고 착각하고 있습니다. 이 세상의 물질적인 것들을 최고 자리에 놓고 그것을 얻기 위해서 얼마나 노력을 하고 있나요?
하긴 저 역시도 여기에서 그렇게 자유롭지 않았었지요. 그래서 성지에 처음 왔을 때, 얼마나 물질적인 것들을 밝혔는지 모릅니다. 돈만 있으면 뭐든지 할 수 있을 줄 알았고, 돈을 모으기 위해서 노력만 했습니다. 하지만 그러면 그럴수록 성지의 생활은 힘들기만 했습니다. 오히려 행복의 기준은 돈이 아니라, 사람들의 기도와 사랑임을 나중에서야 깨닫게 되었지요. 그리고 그러한 깨달음 뒤에 성지의 생활이 얼마나 행복한지를 알 수 있었습니다.
오늘 복음에서 예수님께서는 이러한 부드러움을 간직하고 있는 사람들이 행복하다고 말씀하십니다. 마음이 가난한 사람들, 슬퍼하는 사람들, 온유한 사람들, 의로움에 주리고 목마른 사람들, 자비로운 사람들, 마음이 깨끗한 사람들, 평화를 이루는 사람들, 의로움 때문에 박해를 받는 사람들, 그리고 당신 때문에 모욕과 박해를 받는 사람들. 돈 많은 사람들, 높은 지위에서 권력을 마음껏 누리는 사람들 등등 세상의 단단함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행복하다고 절대로 말씀하시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나는 행복한 사람일까요? 불행한 사람일까요?
모든 성인 성녀들은 세상의 단단함을 이기심으로써 어떤 사람이 행복하다는 것을 직접 보여주셨습니다. 우리 역시 이 성인들의 그 모습을 기억하면서,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사람이 되었으면 합니다.
부드러운 사람이 됩시다.
콜럼버스의 달걀('유쾌한 심리학 2' 중에서) 1492년 10월 20일, 콜럼버스는 신대륙을 발견했다. 지구가 둥글다고 확신하고 서쪽으로 계속 항해한 결과였다. 그는 이곳이 인도의 일부라고 생각했다. 그리하여 그는 원주민을 인디언이라고 불렀다. 7개월 만에 콜럼버스는 스페인으로 돌아왔다. 사람들은 마치 개선장군처럼 맞이했다. 환영회를 하는 날, 그를 시기한 한 사람이 나서서 말했다. "배를 타고 서쪽으로 계속 가면 누구라도 섬을 발견할 수 있지 않소." 그러자 콜럼버스는 삶은 달걀 한 개를 집어 들고, "이 달걀을 누가 세워보시오"라고 말했다. 하지만 아무도 달걀을 세우지 못했다. 콜럼버스는 달걀 끝을 깨어, 보란 듯이 테이블 위에 세웠다. 사람들은 그것을 보고 "그거야 누구나 할 수 있잖소." 하며 웃었다.
"남이 한 것을 보면 누구라도 간단하게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것을 처음으로 한다는 것이 어려운 것이죠"
리더십이 어떤 것인지는 서점에 있는 리더십에 관한 책 한두권만 읽으면 거의 알게 된다. 그래서 웬만한 지도자들도 리더십에 대해 잘 알고 있다. 하지만 왜 진정한 리더십이 발휘되지 못하는가? 그것은 바로, 자신이 알고 있는 것을 행동으로 옮기지 못하기 때문이다. 마땅한 인재를 적재적소에 써야 하고, 지연이나 학연이나 혈연에 휘둘리지 말아야 한다는 것은 리더십 책에 나와 있는 기본 내용이다. 알고는 있지만, 행동하지 않는 것이다. 비단 리더십에서뿐만이 아니다.
"인생에 있어서 지극한 가치는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행동으로 옮기는 것이다" [멋진 신세계]의 작가 올더스 헉슬리의 말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