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알뜰 살뜰 추석 상차림 준비
추석 상차림 메뉴를 정하기(비슷한 음식이 중복되지 않도록 가짓수는 줄이고 되도록 저렴한 재료를 선택하고 한가지 재료로 여러 요리를 할 수 있는 것으로 메뉴를 정한다.)
* 햅쌀밥과 토란탕
* 나물류 (숙주나물, 무나물, 콩나물, 도라지 나물, 고사리 나물 중 적당히 선택)
* 전류 (고기전, 생선전, 표고전 중 적당히 선택)
* 찜, 산적류 (사태찜, 토란찜, 표고 대파 산적, 명태, 코다리찜 중 적당히 선택
* 떡 (송편)
* 강정, 유과류 (율란, 찬밥 강정)
* 김치 (장김치, 나박김치)
* 음료 (식혜)
* 과일류 (밤, 대추, 사과, 배등)
시장보기와 사전 준비 요령
* 값이 오를 많나 것 중, 오래 보관해도 괜찮은 것은 미리 사둔다.
예를 들면 과일, 육류, 제수 용품, 견과류, 건어물 등은 미리 사둔다.
(과일도 추석 6일전이 가장 싸다는 통계치)
* 생선류 중 값이 너무 오른 것은 피하고 저렴한 다른 생선으로 대체한다. 예를 들면 북어가
비쌀 땐 명태 코다리로, 생조기가 비쌀 땐 냉동 조기 등으로 대체한다.(생선은 추석 전날이
싸다는 통계치)
* 나물류는 물에 푹 담가 놓은 것은 좋지 않다. 도라지, 더덕 등은 껍질이 있는 것이나 직접
까서 파는 것들을 산다. 재래시장을 이용할 경우, 한 두군데 가격을 비교해 보고 산다.
나물류도 너무 비싸지 않는 것으로 선택한다.
* 방앗간이 붐비므로 송편용 쌀가루는 미리 빻아 냉동실에 둔다. 솔잎도 미리 손질해 깨끗이
씻어 냉장 보관했다 쓴다.
* 육류는 찜거리, 국거리, 전거리 등을 미리 손질해 냉동 보관한다.
* 김치는 미리 담궈 하루 정도 익힌 후 냉장고에 보관하다.
* 전, 떡, 식혜, 강정, 유과류는 1-2일 전쯤부터 준비해두고 찜, 양념이나 탕국물도 하루전쯤
준비해둔다. 산적 요리도 미리 꽂이에 꽂아 준비
차례상 차리는 법 ![](http://tfile.nate.com/download.asp?FileID=34453649)
* 소적은 두부전을 말하고 어적은 어패류로 만든전
을 말하며 형편대로 취사선택한다.
* 소탕은 두부탕, 어탕은 어패류탕을 말하고 형편
대로 준비한다.
* 조는 대추, 율은 밤, 이는 배, 사과, 시는 감을 가
리킨다.
* 어동육서 - 생선은 동쪽, 육류는 서쪽
* 두동미서 - 머리는 동쪽, 꼬리는 서쪽
* 홍동백서 - 붉은 과일은 동쪽, 흰과일은 서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