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30대 중반 직장인이다. 직장동료·친구·동호회 회원 모임 등으로 12월 술자리 일정이 꽉 찼다. 평소 술을 마시면 다음날까지 몸이 무겁고 속이 거북해 술자리를 즐기는 편이 아닌데, 연말엔 무조건 피할 수만 없어 고민이다. 잦은 술자리에 따른 숙취해소 방법이 궁금하다.
A 간 내 노폐물 제거…
기름·오일요법 좋아
술은 많이 마시면 독이 되고, 적게 마시면 약이 된다는 말을 흔히 한다. 우리나라의 한의학 고전인 『의방유취』에서도 술을 적당히 마시면 풍과 찬 기운을 없애고, 혈맥을 잘 통하게 하며 몸 안의 나쁜 기운을 몰아내고 약의 효과를 도와주는 작용이 있다고 했다.
하지만 술을 적당히 마시기란 참 어려운 일이다. 흥겨운 기분에 또는 스트레스를 풀기위해 먹는 술은 늘 도를 지나치기 마련이다. 이때 과음을 한 다음날 느끼는 고통-찌뿌드드한 몸, 입에서 가시지 않는 술냄새, 지끈거리는 머리, 멍한 정신, 구역질,싸르르 아픈 배, 묵지근한 뒷머리, 울렁거리는 속-인 숙취가 찾아온다.
숙취의 원인은 대부분 간에서 해독능력이 떨어져서다. 숙취를 일으키는 술의 성분은 메틸 알콜이다. 메틸 알콜이 포름 알데히드, 즉 강력한 독성물질로 변형되어 숙취를 일으키는 것이다.
술을 많이 마시게 되면 장속에 있는 박테리아도 술에 취해 심각한 독성물질을 만들어 낼 뿐 아니라 간세포의 단백질을 파괴하거나 변형시킨다. 과도한 술은 간과 뇌 뿐만 아니라 우리 몸의 이곳저곳을 망가뜨린다.
특히 남성의 성기능을 무력하게 만드는 주범 중의 하나도 바로 과음이다. 술 때문에 간이 손상을 받으면 남성호르몬 분비에 이상이 생기고 그 결과 성기능 저하 및 성욕감퇴가 일어난다.
숙취는 혹사한 간이 외치는 SOS 신호다. 술을 먹은 다음날 몸이 예전 같지 않게 무겁고, 힘들면 간에 이상신호가 왔다는 신호임을 알아야 한다. 숙취가 심해진다면 간질환을 의심해봐야 한다.
특히 과음과 폭음은 지방간·간염·간경변등 알콜성 간질환에 이르는 지름길이다. 숙취를 해소하기 위해 사우나를 찾거나 아침 해장국을 즐기는 이들도 있다. 숙취해소에 특효가 되는 음료에 기대기도 한다.
숙취를 해소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무엇일까?
물론 과음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지만, 우선적으로 간의 해독능력을 회복하고 증강시키는 일이다.
이를 위해서는 간 내 담도관 안에 있는 담즙과 노폐물을 제거하는 간해독(liver flushing)을 시행하고, 간세포 내 대사기능, 즉 해독능력을 올리는 치료를 병행해야 한다.
대장 내 숙변처럼 간내 담도관의 노폐물과 담즙 찌꺼기들을 제거하는 방법은 우리 옛선조들이 흔히 써왔던 기름요법이나 유럽대체의학에서 내려오고 있는 오일요법이 있다.
이 요법을 인체 생리기전에 맞추어 단계별로 시행하면, 간의 해독정화 기능이 높아져 숙취해소에 크게 도움이 된다. 또한 알콜 해독과 간세포 회복에 좋은 금액단(金液丹)이 있다. 『편작심서신방』(扁鵲心書神方)에 나오는 금액단(金液丹)은 해독에 최고의 약으로 꼽힌다. 각종 외부의 독을 제거하는데 좋으며, 일체의 중독증세를 제거하는 효능이 있다. 알콜 해독 및 급만성 약물중독 등 많은 사례에서 효과를 볼 수 있다.
신민식 원장
해독한의원
joins_ 중앙일보 기사
숙취에 관한 다른 자료
연말 잦은 술자리…과음하면 ‘필름’ 왜 끊기나?
[서울신문]술이 더 독하게 느껴지는 12월이다. 친구, 회사 동료, 동문회 등 평소보다 많은 술자리가 우리를 기다리고 있다. 그러나 얼큰한 취기 속 화기애애한 즐거움은 잠시. 과음은 ‘기억 상실’을 부른다. 소위 ‘필름이 끊기는’ 것이다. 다음날 일어나기도 어려울 정도로 머리가 지끈지끈하고 속은 울렁거리는 경우가 많다. 왜 흥겨운 술자리에서 필름 끊기는 현상이 생겨날까. 숙취는 왜 뒤따르는 것일까. 술과 관련된 과학적 지식을 살펴보자.
●알코올에 교란되는 뇌세포
알코올은 위와 소장에서 흡수된 뒤 혈액을 타고 간으로 들어가 최종 처리 과정을 밟는다. 그러나 간의 처리 용량보다 많은 알코올이 몸 안에 들어오면 알코올은 핏줄을 타고 뇌와 다른 장기로 파고 든다. 특히 뇌에는 다른 신체 기관보다 많은 혈액이 공급되기 때문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알코올은 뇌세포를 직접 파괴하지는 않지만, 신경세포 막을 무너뜨리며 신경세포들의 신호 전달 시스템을 교란시킨다. 신경세포 간의 정보전달이 제대로 안 되다 보니 여러 이상 징후가 나타나게 된다. 이때가 이른바 ‘취한’ 상태 인 것이다. 발음이 부정확해지고 청력 기능도 떨어지며 시야도 흐릿해진다. 무엇보다 평형감각이 망가지면서 균형을 못잡고 비틀거리게 된다.
필름이 끊기는 현상은 의학 용어로 ‘블랙아웃(Blackout)’이라 하는데, 기억을 입·출력하는 대뇌의 해마 부위에서 입력과정에 문제가 생겼을 때 발생한다.
통상 다음날 일어나 보면 음주 당시의 기억은 전혀 나지 않는데, 신기하게도 집에는 무사히 돌아와 있는 나 자신을 발견할 수 있다. 하지만 어떻게 귀가했는지 도통 기억이 안 난다. 이는 술자리 상황 등 새로운 정보는 술 마시는 동안 뇌속에 ‘입력’이 안됐지만, 집 위치나 귀가 방법 등 기존에 입력된 기억은 제대로 ‘출력’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숙취는 왜 생기나
술을 마시고 잠에서 깬 뒤 특유의 불쾌감을 느끼게 된다. 머리가 깨질 듯이 아프고, 몸에 기운도 없어진 것처럼 축 처지는 느낌을 받는다. 속이 울렁거리면서 쓰리고 아프기도 하다. 이같은 숙취감은 술의 알코올 성분에 의한 것이라기보다는 알코올 대사과정에서 생겨나는 현상이다. 아세트알데하이드(Acetaldehyde)라는 물질이 위 점막, 교감신경 등을 지속적으로 자극하면서 빚어지는 현상이다. 반대로 ‘술이 깬다’는 것은 아세트알데히드의 자극이 없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체중 60㎏ 정도의 보통 성인이 1시간 안에 분해할 수 있는 알코올의 양은 6g정도다. 만일 소주 한 병을 마셨다면 술 속에 든 알코올을 왼전히 분해하기까지 10시간 이상을 기다려야 하는 셈이다.
콩나물국, 북엇국 등 음식을 비롯해 숙취 제거에 특효가 있다고 알려진 음료나 약품은 모두 아세트알데히드 분해 효소를 많이 담고 있는 것들이다.
'Sharing > 배운 것은 나눠야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 몸의 가진 18가지 신기한 비밀 (0) | 2008.01.03 |
---|---|
알고 있으면 좋은 상식들 (0) | 2008.01.03 |
기름값 덜 들어가는 주유법 (0) | 2007.12.10 |
자동차 성에 빨리 제거하는 방법 (0) | 2007.12.04 |
중년의 피부 관리법 (0) | 2007.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