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aring/배운 것은 나눠야 ..

집안 화초 (공기정화식물) 키우기 요령

ohjulia 2006. 5. 11. 10:03
집안 화초 (공기정화식물) 키우기 요령
 
 
1. 스파티필룸
학   명 : Spathiphyllum spp.
과   명 : 천남성과(Araceae)
영   명 : Peace lily,white anthurium
원산지 : 열대 아메리카
어   원 : 그리스어 spathe(불염포), phyllon(a leaf), 잎모양의 포엽에서 유래.

꽃이 핀 후 하얀 포엽(불염포)을 오랫동안 감상할 수 있기 때문에 어린 식물은 작은 분화용으로, 큰 식물은 단일 화분의 장식용 또는 실내 정원의 장식용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모 양 잎은 긴 잎자루에 달리며 길이는 약 30 cm, 폭은 5 cm로 타원형이고, 잎색은 진한 녹색으로 광택이 있다. 꽃은 흰색의 육수화서이고 그것을 둘러싼 포엽(불염포)도 흰색으로 길이는 10~15 cm이다.
가꾸기 낮은 습도와 음지에서도 비교적 잘 견딜 뿐만 아니라 꽃도 오랫동안 피어 있는다. 꽃을 많이 피우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 밝은 실내에 두어야 한다. 배수가 잘 되는 토양이 적당하며, 항상 수분을 유지해 주는 것이 좋다. 겨울철에도 12°C 이상을 유지해 주어야 한다. 심각한 충해는 없으나 수분 공급이 과다하거나 과습한 경우, 잎에 반점이 생기거나 엽고병, 탄저병 등이 발생할 수 있다. 포기나누기나 종자, 조직배양으로 번식한다.

 
2. 디펜바키아 마리안느
학   명 : Dieffenbachia amoena ‘Marianne’
과   명 : 천남성과(Araceae)
영   명 : Giant dumbcane, charming dumbcane
별   명 : 마리안느
원산지 : 열대 아메리카
어   원 : 인명 Dieffenbach에서 유래.

중형 화분에 심어 기르는 대표적인 관엽식물로, 병충해의 피해가 관리도 비교적 용이다하. 겨울철 온도만 유지시켜주면 실내에서 크고 시원스런 잎을 감상할 수 있는 품종이다. 식물체내에 칼슘옥살레이트 결정이 있어 잎을 씹으면 일시적으로 말을 하지 못할 정도의 통증을 일으키므로, 어린이가 있는 가정에서는 주의한다.
모 양 잎 앞면은 광택이 있는 짙은 녹색 바탕에 다양한 흰 얼룩 무늬가 있고 길이는 약 45cm까지 자란다. 줄기 위 끝부분에서 잎이 아래로 처지면서 아치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넓은 공간을 펄요로 한다.
가꾸기 빛이 적고 따뜻한 실내에서 잘 자란다. 추위에 매우 약하여 밤 기온은 18°C이상을 유지하고 찬바람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생육기에는 물을 충분히 주지만 그 외에는 토양이 마르면 물을 준다. 통풍이 되지 않는 곳에서 너무 습하면 잎에 반점이 생기거나 썩는 경우도 있다. 포기나누기 또는 줄기꽂이로 번식한다.

 
3. 드라세나(행운목)
학   명 : Dracaena fragrans ''Massangeana Compacta''
과   명 : 용설란과(Agavaceae)
영   명 : Corn plant
별   명 : 맛상게아나
원산지 : 북부 기니아 원산 식물의 원예품종
어   원 : 그리스어 drakaina(a dragon)에서 유래.

드라세나 속은 다양한 크기와 무늬를 가진 품종이 있는데, 식물환경이 비교적 좋지 않는 곳에서도 잘 자라므로관엽식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주변에서는 흔히 나무토막을 잘라 순을 내서 뿌리없이 물에다 올려 놓고 기르는 경우도 있다. 물가꾸기로 실내를 장식할 수도 있다.
모 양 목질화된 줄기의 정단부에 있는 잎은 옥수수 잎처럼 선형으로 길며, 중앙에 세로로 노란색의 줄무늬가 있어 아름답다. 드라세나 속은 잎자루없이 줄기의 촘촘한 마디에 붙어 있는 것이 특징인데, 특히 이 품종은 원종에 비해 잎이 짧고 컴팩트한 느낌을 준다.
가꾸기 덥고 습한 곳을 좋아하지만 건조에도 비교적 강한 편이다. 빛이 부족한 곳에서는 노란색 줄무늬가 없어지고 잎이 넓어지므로, 아름다운 무늬 잎을 감상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빛이 있는 곳에서 기른다. 과습할 경우 잎에 반정이 생기거나 부패병 등이 발생한다. 습도가 너무 낮으면 잎끝이 마르므로 분무기 등으로 물을 적셔준다.
꺾꽂이나 공중떼기로 번식하며, 잎이 없는 나무 줄기 부분만을 잘라 심어도 새로운 뿌리와 잎이 잘 나온다.

 
4. 파키라
학   명 : Pachira aquatica
과   명 : Bambacaceae
영   명 : Guiana chestnut, water chestnut, provision tree
원산지 : 열대 아메리카

굵은 나무에서 푸른 줄기가 나와 연두색의 얇은 잎들이 손가락처럼 둥글게 모여 있어 싱그러운 느낌을 주며, 보통 중 소형 화분으로 이용한다.
모 양 줄기는 녹색으로, 자라면서 밑의 부분이 갈색으로 변하며 두꺼워진다. 잎은 길이 15~30cm의 피침형 소엽이 5~7매 동그랗게 모여나며, 소엽의 주맥을 중심으로 양쪽의 잎맥들이 직각으로 뻗어 있는데 다소 함몰되어 있다.
가꾸기 기르기에는 밝은 간접광선이 있는 곳이 좋으며, 빛이 너무 적을 경우에는 줄기의 마디와 잎자루가 길어지면서 모양이 엉성해지므로 주의한다. 생장기 동안에는 물을 충분히 준다.
잎은 크고 얇고 연약하여 강한 바람이나 추위, 강한 빛에 의해 피해를 입기 쉬우므로 주의한다. 생육이 매우 왕성해서 잎이 없는 굵은 줄기를 심어도 뿌리와 새로운 줄기가 나온다. 심각한 병충해의 피해는 없다. 줄기꽂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5. 안스리움
학   명 : Anthurium andraeanum
과   명 : 천남성과(Araceae)
영   명 : Flamingo lily
원산지 : 열대 아메리카 원산 식물의 교잡 품종
어   원 : 그리스어 anthos(a flower), oura(a tail), 꼬리같은 꽃.

화원에 있는 안스리움을 보면 흔히 조화인지 의심되어 손으로 만져보게 된다. 최근 다양한 색과 모양의 포엽을 가진 품종들이 나오고 있어 실내 화분식물이나 자른 꽃으로 이용하고 있다.
모 양 줄기는 짧고, 잎은 길이 30~40cm로 긴 잎자루에 달린다. 붉은 빛의 하트 모양인 큰 포엽을 가진 육수화서가 달려서 오랫동안 감상할 수 있다. 습할 때에는 줄기의 마디에서 기근이 발생하기 쉽다.
가꾸기 습도가 매우 중요한 환경요소이다. 다른 착생식물과 같이 바크나 수태와 같은 통기성이 좋은 토양을 항상 축축하게 유지해 준다. 건조할 때는 분무기로 잎에 물을 자주 뿌려 공중습도를 높여주는 것이 좋다. 높은 공중습도와 적당한 온도 환경에서는 연중 꽃이 핀다. 그렇지만 화분이 너무 습한 것은 싫어한다. 물은 여름철에는 매일, 그밖의 계절에는 2~3일에 한 번 준다. 건조할 때 진딧물이 많이 발생하고, 깍지벌레와 잎의 반점과 썩음병이 나타나기도 한다. 화분에 있는 여러 줄기를 기근과 함께 포기나누기하거나 줄기꽂이로 번식한

 
6. 싱고니움
학   명 : Syngonium podophyllum ‘Pixie’
과   명 : 천남성과(Araceae)
영   명 : Nephthytis, arrowhead vine
원산지 : 열대 아메리카
어   원 : 그리스어 syn(together),gene(womb), 자방이 합쳐 있는

화살촉 모양의 단정한 유년상 잎에 아름다운 무늬가 있어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는 대표적인 덩굴성 실내 관엽식물이다.
모 양 유년상일 때는 녹색 바탕에 잎맥을 따라 멋진 크림색 무늬가 있는 화살촉 모양의 잎을 지니고 있다. 성년상의 성엽이 되면 잎이 커지고 깊게 갈라져서 귀엽고 단정한 모습이 사라지므로, 주로 유년상의 잎을 가진 줄기를 기른다. 일반적으로 습할 때에는 마디에서 기근이 나온다. 어린 상태에서는 줄기가 그다지 길게 자라지 않아 아담한 모양을 이른다.
가꾸기 다양한 토양에서는 물론, 물에서도 잘 자란다. 습하고 물이 충분한 토양과 18''c 이상의 야간 온도가 최적의 생육 장소이다. 빛이 적은 곳에서도 잘 자라지만 다소 줄기가 길어지고 잎의 무늬가 없어지게 된다. 해충에 의한 피해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농장에서 생산할 때는 습도나 수분이 많을 때 잎이 썩거나 마르고 반점 등이 발생하나, 실내에서 기를 때는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아랫부분의 유년상 줄기에서 두마디 이상을 포함한 줄기를 꺾꽂이하여 번식한다.

 
7. 산세비에리아
학   명 : Sansevieria trifasciata
과   명 : 용설란과(Asavaceae)
영   명 : Snakeplant, mother-in-law tongue
뭔산지 : 남아프리카
어   원 : 인명 Sanseviero에서 유래.

식물 생육에 좋지 않은 실내 환경에서도 잘 견딜 수 있는 매우 강건한 다육식물이다. 품종에 따라 다양한 무늬가 있는 특이한 잎 모양을 관상하기 위해서 실내의 중.소형 화분에서 기른다.
모 양 지하의 뿌리줄기에서 올라온 잎은 로제트상으로 나서 위쪽으로 길게 자란다. 선형으로 다육질인 잎은 길이 2S~120cm로 연한 회녹색이며, 가로로 녹색의 무늬가 있다. 꽃은 녹색을 떤 흰색으로 총상화서로 달리며 향기가 있다.
가꾸기 다른 식물들이 자라기 어려운 빛이 적은 곳이나 낮은 습도, 너무 덥거나 차가운 바람이 부는 곳에서도 잘 자라는 강건한 다육식물이다. 하지만 적절한 생육을 위해서는 가능한 밝은 곳에서 기르는 것이 좋다. 겨울철에는 물주기량을 줄인다. 토양은 유기질이 혼합된 양토가 좋다. 분갈이는 3년에 한 번 또는 화분에 식물이 꽉 차있을때 해 준다. 토양에 물이 너무 많으면 잎의 색이 연해지고 심하면 황화된다. 병충해의 피해는 거의 없다. 잎을 약 8cm정도의 길이로 잘라서 꺾꽂이(잎꽂이)하거나, 뿌리줄기를 포기나누기하여 번식시킨다.

 
8. 골드크레스트
학   명 : Cupressus macrocarpa ''Gold Crest''
과   명 : 측백나무과(Cupressaceae)
영   명 : Monterey cypress tree
별   명 : 율마
원산지 : 북아메리카 원산종의 품종
어   원 : 라틴명.

주로 어린 모종 상태의 식물을 화분에 심어 밝은 실내에 두고 기른다. 어릴 때의 바늘 잎을 살짝 건드리면 은은한 레몬향이 난다.
모 양 직립한 가지에서 수많은 가지들이 나오는데, 어린 가지에서는 가시 잎이지만 점차 성숙함에 따라 노란 빛이 없어지고 녹색의 비늘잎이 생긴다.
가꾸기 빛이 적은 곳에서는 아름다운 노란빛이 없어지고 푸른 잎이 되며 수형도 엉성하게 되므로 충분한 빛이 있는 곳에서 기른다. 추위에도 강한 편으로 겨울철 0''c이상을 유지해 준다. 건조에는 비교적 강하므로 다른 관엽식물보다는 물을 적게 주지만 한창 자랄 때에는 2~3일에 한 번 주는 것이 좋다. 바늘 잎이 있는 어린 가지로 줄기꽃이하여 번식한다.

 
9. 보스턴고사리
학   명 : Nephrolepis exaltata ''Bostoniensis ''
과   명 : 고란초과(Polypodiaceae)
영   명 : Boston fern
별   명 : 네프롤레피스
원산지 : 열대지방.

공중걸이 분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소형 실내 관엽식물로, 다른 고사리류에 비하여 강건하여 적절한 빛과 수분 조건만 주어지면 손쉽게 기를 수 있다.
모 양 잎은 원래 엽상체로서 우상복엽의 모양을 이룬다. 잎은 밝은 녹색이고 길이는 약 60~100cm로 작은 선형의 잎들이 좌우로 붙어 있다. 엽상체는 자라면서 아치형태로 처진다.
가꾸기 열대지방의 실외뿐만 아니라 실내환경에서도 잘 자라는 식물이다. 다른 고사리들처럼 습하고 어두운 곳을 좋아하나, 보스턴고사리는 일반 고사리보다 튼튼하다. 밤기온은 최적 12°C이상을 유지한다. 외풍은 좋지 않으나 적절한 환기는 필요하다.

높은 습도를 좋아하지만, 습할때 잎이 계속 젖어 있으면 곰팡이가 발생할 수도 있다. 살충제 피해가 발생하기 쉬우므로 주의한다. 건조할 경우 깍지벌레나 화이트플라이, 온실가루이 등이 발생한다. 주로 포기나누기나 포기에서 나온 긴줄기 끝에 달린 새로운 포기를 잘라 번식한다.
 

보라색꽃과 흰색, 분홍색의 꽃등 종류가 다양한 라벤다는 허브 중에 가장 인기 있고 잘 알려진 종이다.
쑥과 비슷한 향이 나며 입욕제로 많이 사용한다.
   
정신적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긴장을 풀어준다.
불면증이 있을 때 좋다.
편두통이나 스트레스에 연하게 마시면 좋다.
   
쿠키, 제리등에 향을 가미할 때 사용하세요.
차로 마실 수 있다.


 

식물 전체에 방향의 효과가 있고 추출 방법에 따라 향수의 원료로도 사용 가능하다.
   
뇌의 활동을 높여 기억력 증진
우울증 치료
노화방지
치통에 레몬밤을 이용한 양치는 효과적이다.
   
단맛이 있어서 설탕대용으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딜"의 어원이 "달래다, 진정시키다"에서 알 수 있듯이 배고픔이나 지루함을 달래기 위해 "딜"씨를 씹는다고 전해진다. 상큼한 향기가 나나 뒷맛이 똑 쏘듯이 맵기 때문에 약간 적은 듯 사용하는 것이 좋다.
   
식욕을 자극
구취제거
두통, 숙면에 효과적
   
고기 스프나 샐러드 소스에 사용하며 요리가 끝날 때 쯤 첨가하여 고유의 맛과 향을 살려 주세요.


 

각종 조미료로 많이 사용하며 향기가 매우 부드럽게 스며드는 달콤하며서도 상큼한 가벼운 향을 지녔다.
   
소화촉진
피로, 멀미에 효과적
신경성 두통에 좋다.
   
돼지고기 요리, 내장류 요리, 피자 요리에 사용됩니다.
소금 대용으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유럽이나 지중해 연안에서는 방향성 식물로 향수나 약품 재료로 사용한다. 엘리자베스 여왕이 72세가 되어도 늙지 않고 아름다움을 유지하여 폴란드 왕에게 구혼을 받은 것도 로즈마리 비법의 화장수를 사용했기 때문이라고 전해진다.
   
강하고 상쾌한 향이 기억력을 증진시킨다.
노화방지.
마음을 진정시키고 숙면, 신경통에 효과적.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등과 채소요리 등 갖가지 요리에 사용하며 향이 잘 없어지지 않아 오랜 시간 가열해도 좋아요.

 

초여름에서 가을에 걸쳐 방향성이 있는 흰꽃을 피운다. 차로 마실 경우 향이 부드럽고 맛이 개운하여 허브차를 처음 마시는 이들에게 권하기 좋다.
   
건조하거나 민감한 피부에 탄력을 준다.
산후 고통 완화, 모유촉진
우울증, 목소리가 쉬었을 때 좋다.
   
따뜻한 물에 우려 꿀이나 설탕을 태워서 먹는데 흔히 중국요리에 함께 나오는 차입니다.

 

흰색과 분홍색의 꽃을 피우는 타임은 톡쏘는 것처럼 짜릿하고 자극적인 맛이 독특하다.
   
호흡기에 대한 강한 살균작용이 있어 기침에 좋다.
숙취에 효과적
   
톡쏘는 맛 때문에 쇠고기요리에 많이 사용됩니다.
방부력과 살균력이 좋기 때문에 생선과 고기 보존에 쓰인답니다.

 

향이 좋아 고품질의 화장품으로 재배되고, 남보라, 흰색, 분홍 등 여러가지가 있다. 꽃이 피는 6,7월 사이에 수확한 꽃으로 이용하고 박하향의 약간 쌉쌉한 맛이 난다.
   
기침, 천식, 호흡기 계통 질환에 좋다.
설사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박하 향의 친숙한 맛이 특징이다. 잎은 타원형으로 끝이 뽀족하며 잎과 줄기가 녹색인 것과 자주색을 띠는 것이 있다.
   
위장병, 두통, 피부 탄력 유지에 좋다.
살균 구충효과가 뛰어나 구충 방지제의 재료로 사용한다.
피로를 풀기 위한 발 마사지용으로 으뜸.
   

 
 
목이 아프고 쉴 때 - 라벤더 끓인 물로 입안을 헹군다.
코가 막힐 때 - 로즈마리의 향기를 맡는다.
기운 회복 - 타임, 로즈마리를 차로 마신다.
잠에서 깨고 싶을 때 - 페파민트자스민을 마신다.
멀미가 날 때 - 페퍼민트를 손수건에 한두방울 떨어뜨려 향을 맡는다.
입덧이 심할 때 - 뜨거운 물에 적신 타월에 라벤더 2방울을 떨어뜨려 배를 30분 정도 찜질한다.
감기가 걸려 목이 아플 때 - 타임을 끓인 물로 양치질 한다.
숙취해소 - 꿀물에 페퍼민트 1방울 떨어트린다.
숙면을 취하고 싶을 때 - 라벤더 향기를 맡거나 목욕할 때 사용한다.
식후 산뜻함을 원할 때 - 레몬밤으로 차를 마신다.
 
 
   
차로 마실 때 신선한 허브는 1큰술, 건조한 허브는 1작은술 정도를 넣고 뜨거운 물을 부어준다.
   
차로 마실 때 뜨거운 물을 부어준 후 신선한 허브는 4~5분, 건조한 허브는 3분전후로 우려내고 꿀이나 레몬을 첨가한다.
   
향기가 잘 없어지지 않아서 고온이나 오랜시간 조리를 요하는 요리에는 마조람, 타임, 히솝, 로즈마리 등이 알맞다.
   

고유의 맛과 향기를 살릴 수 있도록 요리가 끝날 때쯤 첨가하거나 열을 가하지 않는 요리에 사용되는 허브는 딜, 민트, 레몬버배나 등이 알맞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