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 Lord/† 聖人들의 삶을 통해서

성 예로니모 에밀리아노 (2월 8일) 신부, 설립자

ohjulia 2007. 2. 8. 09:16
 성 예로니모 에밀리아니
 

    성 예로니모 에밀리아니 (St. Jerome Emiliani)

    신부, 설립자

    성인의 활동지역 : 이탈리아( Italy ) 성인의 활동연도 : 1486-1537년 성인과 같은이름 : 에밀리아노, 에밀리아누스, 예로니무스, 제롬, 히에로니모, 히에로니무스 1486년 이탈리아 베네치아(Venezia) 태생인 성 히에로니무스 에밀리아니 (Hieronymus Aemiliani, 또는 예로니모)는 젊어서 군인이 되어 트레비소 (Treviso)의 카스텔누오보(Castelnuovo)에 주둔하는 베네치아 공화국 군대에서 근무하였다. 그러던 중 그는 1511년에 지휘관이 되었지만 캉브레(Cambrai) 동맹군에게 붙잡혀 포로가 되었다. 감옥생활은 그에게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고 회개하도록 하였다. 그 후 기적적으로 지하 감옥을 탈출한 그는 곧 트레비소의 마돈나 그란데 (Madonna Grande) 성지를 순례하였다. 1518년 사제 서품을 받고 고향인 베네치아에 부임한 성 히에로니무스는 페스트가 만연하고 또 기근의 희생자들이 날로 늘어가는 불행한 사태가 발발했을 때, 특별히 고아들을 돌보기로 맹세하고 브레시아(Brescia), 베르가모(Bergamo) 그리고 코모(Como)에 고아원을 세우는 한편 베로나 (Verona)에는 병원을 지었고, 참회하는 거리의 여성들을 위한 보금자리를 마련해 주는 등 여러 가지 사회활동에 혼신의 힘을 다 바쳤다. 1534년 그는 다른 두 사제와 함께 후에 '소마스카의 성직 수도회'로 변경된 '가난한 자들을 위한 봉사자회'를 설립하였다. 이 수도회 이름은 그들이 첫 수도원을 세운 도시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이 수도회의 주요 목표는 고아들을 돌보고 어린이들과 사제들을 교육하는데 있었다. 그는 병자들을 돌보는 일에 헌신하다가 결국 페스트에 감염되어 1537년 2월 8일 소마스카(Somascha)에서 운명하였다. 그가 사망한 후인 1540년 6월 4일에 그가 설립한 성직 수도회는 교황 바오로 3세(Paulus III)로부터 인가를 받았다. 성 히에로니무스는 1747년 교황 베네딕투스 14세(Benedictus XIV)에 의해 시복되었고, 1767년 교황 클레멘스 13세(Clemens XIII)에 의하여 고아들의 수호성인으로 시성되었다. 그리고 교황 비오 11세(Pius XI)는 1928년 3월 14일에 성 히에로니무스를 버림받은 청소년들의 수호성인으로 선포하였다. ******************************************************************** 우리의 생애는 흔히 ’자기 중심주의’의 속박에서 벗어나기 위하여 일종의 ’구속’을 스스로 당하는 경우가 가끔 있다. 우리가 빠져들어 가고 싶지 않은 어떤 상황에 사로잡혀 있을 때 우리는 우리를 해방시키는 그 어떤 분의 힘을 알게 된다. 그렇게 되고 난 뒤에야 비로소 우리는 우리 주위에 있는 모든 고아들이나 구속된 사람들에게 또 다른 그 어떤 존재가 될수 있는 것이다. 그 거룩한 처소에 계시는 하느님이 고아들의 아버지, 과부들의 보호자 시로다. 하느님은 의로운 이에게 집을 마련하시고,사로집힌 몸들을 행복에로 이끄시나니 반역의 무리들만이 메마른땅에 버려지도다’(시편 67,6-7) 우리는 자기 가정과 공동체에서 버림받는 사람들의 수가 점점 더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된다. 정의가 참으로 실현되려면 우리가 인간 활동의 모든 분야에서,특히 세계적인 차원에서 새로운 임무와 새로운 역할을 담당할 준비를 해야 한다. 우리의 활동은 무엇보다도 먼저 불행한 사람들과 국가에 관심을 가지는 것이다. 바로 그들이 갖가지 형태의 억압을 당하고 또 오늘날 우리 사회의 현실적인 특징이 아무런 말을 못하고 침묵을 지키기 때문에 불의의 희생자가 생기게 되는것이다.’ (’세상에서의 정의’1971년 세계 주교 대의원회의) - 성바오로수도회홈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