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 Lord/† 聖人들의 삶을 통해서

성 대 그레고리오 (9월 3일) 교황, 학자

ohjulia 2006. 9. 3. 00:20
 성 대 그레고리오
 

    성 대 그레고리오 (St. Gregory the Great ) 교황, 학자

    성인의 활동지역 : 성인의 활동연도 : 540-604년 성인과 같은이름 : 그레고리, 그레고리우스 부유한 귀족 고르디아누스(Gordianus)의 아들로 태어난 성 대 그레고리우스 1세 (Gregorius I, 또는 그레고리오)는 로마(Rome)에서 교육을 받았고, 랑고바르드족(Langobard)의 이탈리아 침략이 로마를 위협하고 있을 당시에는 로마의 장관이었다. 수도생활을 오랫동안 꿈꾸어 왔기 때문에 그는 574년경에 로마와 시칠리아 (Sicilia)에 수도원을 세우고 35세경에 수도자가 되었다. 579년부터 585년까지 그는 콘스탄티노플의 교황 대사로 활약하다가, 5년 후에 자기 수도원으로 돌아온 뒤 교황으로 선출되었다. 수도자가 교황으로 선출된 것은 사상 처음 있는 일이었다. 그는 교회법령을 정비하고 무능한 성직자들을 해임시켰으며, 막대한 경비를 들여 자선활동을 전개하였다. 그는 지혜롭게 교황청 재산을 관리했고, 랑고바르드족(Langobard)으로부터 포로들을 석방시켰으며, 부당한 박해를 받던 유대인들을 보호하고, 기근의 희생자들을 구호하였다. 593년 그는 랑고바르드족 침략군을 설득하여 로마를 평정시켰으므로 랑고바르드족의 왕과 함께 평화의 수호자로 존경을 받았다. 그는 위대한 주교이자 정치인이었다. 또한 그의 학덕은 어느 누구도 넘볼 수 없을 정도로 높았다. ‘레굴라 파스토랄리스’(Regula Pastoralis, 주교의 직책과 의무), ‘모랄리아’(Moralia, 욥서 주해), ‘대화집’을 비롯하여 800여 통의 서한들 속에 담긴 그의 사상은 서방교회의 공식 예식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으며, 유럽의 역사에도 큰 발자국을 남겼다. 그는 잉글랜드(England)의 개종에도 크게 영향을 미쳤고, 교황권이 교회의 최고 권위임을 재확립하였으며, 교황을 일컫는 칭호인 “하느님의 종들의 종”이란 표현을 처음으로 사용하였다. 뿐만 아니라 그는 위대한 설교가였고, 로마 전례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친 결과, 그는 “그레고리안 성가”의 편집자로 추앙받는다. 또한 베네딕토 수도회를 면속시켜 교황의 권위 하에 두었다. 그는 라틴 교부의 일원으로 공경을 받으며 중세 교황직의 아버지로 추앙받는다. 서거 즉시 시성되었다. ************************************************************************* 그레고리오는 30세가 되기도 전에 로마 총독(Praetectus urbis)이 되었다. 5년 간 공직에 있다가 사임하고 시칠리아에 여섯 개의 수도원을 세웠으며, 로마에 있는 그의 저택에서 베네딕토회 수사가 되었다. 서품을 받고 교황 펠라지오 2세의 일곱 부제 중의 한 사람이 되었으며 콘스탄티노플에 주재하는 로마 교황 대사로서 동양에서 6년간 봉사했다. 그는 아빠스가 되기 위해 소환되었고 50세에 사제와 로마 시민들이 교황으로 추대했다. 그는 성품이 곧고 강직한 사람이었다. 무능한 사제는 공직에서 물러나게 했으며, 봉사에 대해 돈을 받는 것을 금했고, 롬바르디아의 죄수들을 석방시켰으며, 박해받는 유대인과 흑사병에 걸린 병자와 굶주리는 사람들을 돌보기 위해 교황의 금고를 비웠다. 그는 영국의 개종에 관해 매우 관심이 많아 자신이 세운 수도원에서 40명의 수사를 뽑아 보냈다. 그는 교리에 대한 존경심을 강화시킨 것과 전례를 개혁한 것으로 유명하다. 그가 '그레고리오 성가'의 개편에 크게 관여했는지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 그레고리오가 살았던 시대는 롬바르디아의 침입과 끝없는 싸움, 동양과의 어려운 관계에 놓여 있었다. 로마가 공격을 당했을 때 롬바르디아 왕과 면담하기 위해 간 사람은 바로 그였다. 영국의 한 역사가는 "중세기에 교황이 없었다면 중세의 혼란 상태, 불법, 혼잡이 어떠했을지 생각조차 불가능하며, 중세 교황 중의 진정한 교황은 대 그레고리오 교황뿐이다." 라고 서술했다. 주교의 의무와 자격에 관한 그의 저서 「목자의 관심사」는 그가 죽은 후 수세기 동안 읽혀져 왔다. 그는 주교를 '규율을 강화하고 설교하는 중요한 임무를 지닌 의사'로 묘사했다. 그레고리오는 청중의 요구에 따라 자신의 솔직한 설교 속에 그날 복음을 적용하는 데 능란했다. 대 그레고리오라고 불리는 것은 서방 교회의 중요한 4대 학자 중의 한 사람으로서 아우구스티노, 암브로시오, 예로니모와 쌍벽을 이루기 때문이다. -꼰벤뚜알프란치스코홈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