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독서 미카 5,1-4ㄱ 주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신다. 1 “너 에프라타의 베들레헴아, 너는 유다 부족들 가운데에서 보잘것없지만
나를 위하여 이스라엘을 다스릴 이가 너에게서 나오리라. 그의 뿌리는 옛날로, 아득한 시절로 거슬러 올라간다. 2 그러므로 해산하는 여인이 아이를
낳을 때까지 주님은 그들을 내버려 두리라. 그 뒤에 그의 형제들 가운데 남은 자들이 이스라엘 자손들에게 돌아오리라. 3 그는 주님의 능력에
힘입어 주 그의 하느님 이름의 위엄에 힘입어 목자로 나서리라. 그러면 그들은 안전하게 살리니, 이제 그가 땅 끝까지 위대해질 것이기
때문이다. 4 그리고 그 자신이 평화가 되리라.” 복음 마태오 1,1-16.18-23 <1 다윗의 자손이시며 아브라함의 자손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족보이다. 2 아브라함은 이사악을 낳고 이사악은 야곱을
낳았으며 야곱은 유다와 그 형제들을 낳았다. 3 유다는 타마르에게서 페레츠와 제라를 낳고 페레츠는 헤츠론을 낳았으며 헤츠론은 람을 낳았다. 4
람은 암미나답을 낳고 암미나답은 나흐손을 낳았으며 나흐손은 살몬을 낳았다. 5 살몬은 라합에게서 보아즈를 낳고 보아즈는 룻에게서 오벳을 낳았다.
오벳은 이사이를 낳고 6 이사이는 다윗 임금을 낳았다. 다윗은 우리야의 아내에게서 솔로몬을 낳고, 7 솔로몬은 르하브암을 낳았으며
르하브암은 아비야를 낳고 아비야는 아삽을 낳았다. 8 아삽은 여호사팟을 낳고 여호사팟은 여호람을 낳았으며 여호람은 우찌야를 낳았다. 9 우찌야는
요탐을 낳고 요탐은 아하즈를 낳았으며 아하즈는 히즈키야를 낳았다. 10 히즈키야는 므나쎄를 낳고 므나쎄는 아몬을 낳았으며 아몬은 요시야를
낳았다. 11 요시야는 바빌론 유배 때에 여호야킨과 그 동생들을 낳았다. 12 바빌론 유배 뒤에 여호야킨은 스알티엘을 낳고 스알티엘은
즈루빠벨을 낳았다. 13 즈루빠벨은 아비훗을 낳고 아비훗은 엘야킴을 낳았으며 엘야킴은 아조르를 낳았다. 14 아조르는 차독을 낳고 차독은 아킴을
낳았으며 아킴은 엘리웃을 낳았다. 15 엘리웃은 엘아자르를 낳고 엘아자르는 마탄을 낳았으며 마탄은 야곱을 낳았다. 16 야곱은 마리아의 남편
요셉을 낳았는데, 마리아에게서 그리스도라고 불리는 예수님께서 태어나셨다.> 18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이렇게 탄생하셨다. 그분의 어머니
마리아가 요셉과 약혼하였는데, 그들이 같이 살기 전에 마리아가 성령으로 말미암아 잉태한 사실이 드러났다. 19 마리아의 남편 요셉은 의로운
사람이었고 또 마리아의 일을 세상에 드러내고 싶지 않았으므로, 남모르게 마리아와 파혼하기로 작정하였다. 20 요셉이 그렇게 하기로 생각을
굳혔을 때, 꿈에 주님의 천사가 나타나 말하였다. “다윗의 자손 요셉아, 두려워하지 말고 마리아를 아내로 맞아들여라. 그 몸에 잉태된
아기는 성령으로 말미암은 것이다. 21 마리아가 아들을 낳으리니 그 이름을 예수라고 하여라. 그분께서 당신 백성을 죄에서 구원하실 것이다.”
22 주님께서 예언자를 통하여 하신 말씀이 이루어지려고 이 모든 일이 일어났다. 곧 23 “보아라, 동정녀가 잉태하여 아들을 낳으리니 그
이름을 임마누엘이라고 하리라.” 하신 말씀이다. 임마누엘은 번역하면 ‘하느님께서 우리와 함께 계시다.’는
뜻이다.
어제 아침, 저의 동창 신부로부터 전화가 왔습니다.
“난데……. 내가
오늘 어느 본당에서 미사가 있거든? 그 미사 끝나고 너 보러 성지 갈게……. 그런데 생각해보니 네가 미사 하고 있을 시간인 것 같다. 그러니까
네 방 번호 좀 가르쳐줄래? 내가 방에서 기다리고 있을게.”
저는 그렇게 하라고 하면서 제 방 번호를 가르쳐 주었습니다. 그리고
성지에서 11시 미사와 성지 설명까지 모두 끝내고 동창 신부를 만나기 위해서 방으로 들어갔습니다. 그런데 그 순간 깜짝 놀랄만한 것을 보고
말았습니다. 글쎄 동창 신부가 냉장고에서 요플레를 꺼내 먹은 것입니다. 그래서 저는 큰 소리로 말했지요.
“너 그거 정말로 먹은
거야? 왜 먹었어?”
동창 신부가 깜짝 놀라더군요. 하긴 요플레 하나 먹었다고 큰 소리로 “왜 먹었어”라면서 다그치니 누가 놀라지
않겠습니까? 그런데 제가 왜 이런 말을 했을까요? 혹시 아까워서 그런 말을 했을까요? 아닙니다. 사실 너무나 오래되었거든요. 즉, 유통기간
자그마치 넉 달이나 지난 요플레였습니다. 냉장고를 잘 열지 않다보니, 유통기간을 넘긴 음식들을 버리지 않고 그냥 두고 있었던 것이지요.
아무튼 동창 신부의 속이 괜찮은지 잘 모르겠습니다. 동창 신부에게는 “유통 기간이 얼마 안 지난 거야.”라면서 안심시켜주었지만,
그리고 “믿음만 있으면 절대로 탈나지 않아.”라는 말도 자신 있게 했지만 솔직히 걱정은 됩니다. 너무나 오래된 것이고, 더군다나 다른 것도 아닌
우유 성분이 들어 있는 요플레라서 말입니다.
‘유통기간이 지났으니까’ 하면서 얼른 버렸다면 어제와 같은 일이 일어났을까요?
아니겠지요. 유통기간이 지난 것은 분명히 탈이 날 수 있으니 버리는 것이 너무나 당연한 것입니다. 하지만 귀찮다는 이유로 그대로 치우지 않고
보관하고 있었던 것이고, 그 피해는 제가 아닌 다른 사람이 겪게 되더라는 것입니다.
어쩌면 우리들의 삶 안에서도 이렇지 않을까요?
버려야 하는 것들은 과감하게 버려야 하는데 꼭 움켜쥐고 있는 것들이 얼마나 많을까요? 버리지 못함으로써 내가 상처를 받는 것은 물론, 다른
사람에게도 아픔을 주고 있는 것들이 얼마나 많은지요? 바로 내 안에 있는 욕심들과 뒤로 미루는 게으름들이 이렇게 버려야 할 것들을 버리지 못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오늘 복되신 동정 마리아 탄신 축일을 맞이해서 복음에서는 예수님의 족보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왜 족보를
보여줄까요? 바로 족보를 통해서 내 것이라고 하면서 버리지 못하고 꼭 움켜잡으려고 했던 선조들이 어떠했었고, 반대로 욕심과 게으름을 버리고
주님께서 원하신 모습대로 살았던 선조들은 어떠했다는 것을 보여주려는 것입니다. 바로 선조들의 모습을 통해서 현재를 살고 있는 우리들이 어떻게
살아야 할지를 가르쳐 주는 것이지요.
이제 우리들은 과연 어떤 모습으로 살아야 할까요? 주님의 뜻과 반대로 나아가면서 자신의 것을
움켜잡고 있었던 미련한 선조들의 모습을 그대로 답습하면서 살아야 할까요? 아니면 예수님, 성모님, 그리고 주님의 뜻을 철저히 따르려 했던 많은
이스라엘의 선조들의 모습을 따라야 할까요? 그 선택은 바로 여러분의 몫입니다.
유통기간이 지난 음식을
버립시다.
침묵하는
연습(유안진) 나는 좀 어리석어 보이더라도 침묵하는 연습을 하고 싶다.
그 이유는 많은 말을 하고 난 뒤일수록 더욱 공허를 느끼기 때문이다.
많은 말이 얼마나 사람을
탈진하게 하고 얼마나 외롭게 하고 텅비게 하는가?
나는 침묵하는 연습으로 본래의 나로 돌아가고 싶다.
내 안에 설익은 생각을 담아두고 설익은 느낌도 붙잡아 두면서 때를 기다려 무르익히는 연습을 하고
싶다.
다 익은 생각이나 느낌 일지라도 더욱 지긋이 채워 두면서 향기로운 포도주로 발효되기를 기다릴 수 있기를
바란다.
침묵하는 연습 비록 내 안에 슬픔이건 기쁨이건... 더러는 억울하게 오해받는 때에라도
해명도
변명조차도 하지 않고 무시해 버리며 묵묵하고 싶어진다.
그럴 용기도... 배짱도... 지니고 살고
싶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