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독서 코린토 1서 10,14-22 14 사랑하는 여러분, 우상 숭배를 멀리하십시오. 15 나는 여러분을 슬기로운 사람으로 여겨 말합니다.
내가 하는 말을 스스로 판단하십시오. 16 우리가 축복하는 그 축복의 잔은 그리스도의 피에 동참하는 것이 아닙니까? 우리가 떼는 빵은 그리스도의
몸에 동참하는 것이 아닙니까? 17 빵이 하나이므로 우리는 여럿일지라도 한 몸입니다. 우리 모두 한 빵을 함께 나누기 때문입니다. 18 저
이스라엘 백성을 보십시오. 희생 제물을 먹는 이들은 모두 제단에 동참하는 이들이 아닙니까? 19 그러니 내가 말하려는 것이 무엇이겠습니까?
우상에게 바쳤던 제물이 무엇이라도 된다는 말입니까? 우상이 무엇이라도 된다는 말입니까? 20 아닙니다. 사람들이 바치는 제물은 하느님이 아니라
마귀들에게 바치는 것이라는 말입니다. 나는 여러분이 마귀들과 상종하는 자가 되지 않기를 바랍니다. 21 여러분이 주님의 잔도 마시고 마귀들의
잔도 마실 수는 없습니다. 여러분이 주님의 식탁에도 참여하고 마귀들의 식탁에도 참여할 수는 없습니다. 22 우리가 주님을 질투하시게 하려는
것입니까? 우리가 주님보다 강하다는 말입니까? 복음 루카 6,43-49 그때에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말씀하셨다. 43 “좋은 나무는 나쁜 열매를 맺지 않는다. 또 나쁜 나무는 좋은 열매를 맺지 않는다. 44 나무는 모두 그
열매를 보면 안다. 가시나무에서 무화과를 따지 못하고 가시덤불에서 포도를 거두어들이지 못한다. 45 선한 사람은 마음의 선한 곳간에서 선한 것을
내놓고, 악한 자는 악한 곳간에서 악한 것을 내놓는다. 마음에서 넘치는 것을 입으로 말하는 법이다. 46 너희는 어찌하여 나를 ‘주님, 주님!’
하고 부르면서, 내가 말하는 것은 실행하지 않느냐? 47 나에게 와서 내 말을 듣고 그것을 실행하는 이가 어떤 사람과 같은지 너희에게 보여
주겠다. 48 그는 땅을 깊이 파서 반석 위에 기초를 놓고 집을 짓는 사람과 같다. 홍수가 나서 강물이 집에 들이닥쳐도, 그 집은 잘 지어졌기
때문에 전혀 흔들리지 않는다. 49 그러나 내 말을 듣고도 실행하지 않는 자는, 기초도 없이 맨땅에 집을 지은 사람과 같다. 강물이 들이닥치자
그 집은 곧 무너져 버렸다. 그 집은 완전히 허물어져 버렸다.”
옛날에 곧잘 부르던 노래가 있습니다. ‘꿈에 어제 꿈에 보았던....’이라고 시작하는
‘꿈에’라는 노래입니다. 사랑하는 여인에 대한 그리움이 꿈에까지 나타난다는 노래이지요. 정말로 그런 것 같아요. 정말로 자신의 가슴 속에 깊이
간직된 것은 이런 식으로 꿈으로도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저도 그저께의 꿈을 통해서 깨닫게 되었습니다.
사실 저는 꿈도 꾸지 않고
잘 때가 참으로 많습니다. 그만큼 푹 잔다는 것이겠지요. 그런데 그저께 꿈을 꾸게 되었는데, 글쎄 제가 군대를 다시 간 것이 아니겠어요? 그것도
실제 군대에 있었을 때 제 후임병들이 모두 저의 고참이 되어 있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 후임병에게 기합을 받고 있었지요. 저는 이 사실이 너무나
싫었습니다.
‘이럴 수는 없는 거야. 아니 어떻게 내가 군대를 다시 간 거야? 이것은 꿈이야 꿈……. 빨리 일어나야 해. 이건
꿈이니까…….’
그러면서 고개를 마구 젓는 순간, 꿈에서 깨어났습니다. 얼마나 다행이던 지요. 실제로 일어날 수 없는 일이었지만,
너무나 싫었기 때문에 꿈에서도 나타난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그런데 꿈을 꿀 때, 그 꿈이 꿈이라는 생각이 듭니까? 아무리
개꿈이라고 한들 그 순간에는 모두 현실로 생각될 것입니다. 그러나 이것이 꿈이라고 그래서 빨리 깨어나야 한다고 막 외쳤을 때 정말로 현실로
되돌아오더라는 것이지요. 어쩌면 우리들의 실제 삶에서도 이렇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듭니다.
이 세상에서 고통이나 시련을 체험하지
않은 사람이 있을까요? 아마 단 한 사람도 없을 것입니다. 그런데 차이는 그 고통이나 시련을 어떻게 극복하느냐는 것이지요. 어떤 사람은 하나씩
자신의 문제를 스스로 풀어나가는 반면에, 어떤 사람은 그 자리에 주저앉아서 왜 나한테만 이런 고통이 주어지냐고 하면서 신세 한탄만 합니다.
하지만 신세 한탄만 한다고 해서 자신의 문제가 해결될까요? 아니지요. 스스로 문제를 풀어나가는 과정 안에서 오히려 더 큰 기쁨과 행복을 체험할
수 있는 것입니다.
꿈속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바로 자신인 것처럼, 지금의 현실을 바꿀 수 있는 사람은 바로 자신밖에
없습니다. 주님께서도 이러한 실천의 중요성을 많이 말씀하셨습니다. 오늘 복음을 통해서도 말씀하시지요.
“내 말을 듣고도 실행하지
않는 자는, 기초도 없이 맨땅에 집을 지은 사람과 같다.”
주님께서는 참 행복의 길을 가르쳐주셨지요. 문제는 우리가 그 행복의 길로
들어가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주님께서는 우리들을 억지로 끌고서 그 길로 들어가시지는 않거든요. 바로 우리들이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그 길이
어떤 길인지만을 가르쳐주셨고, 그 실천의 몫을 우리들에게 남겨주셨습니다. 그런데 우리들은 과연 그 길로 직접 걸어가고 있나요?
지금의 현실을 바꿀 수 있는 사람은 바로 ‘나’ 뿐이라는 것을 기억하면서, 그 행복의 길로 힘차게 발걸음을 내딛으시길 바랍니다.
포기하지 마세요.
나이들면 인생은
비슷합니다('좋은 글' 중에서) 30대에는 모든
것 평준화로 이루어지고 40대에는 미모의 평준화가 이루어지고 50대에는 지성의 평준화가 이루어지며 60대에는 물질의 평준화가
이루어지며 80대에는 몸속의 평준화가 이루어진다는 말이 있습니다.
30대까지는 세상의 모든 것이 불공평하고 사람마다 높은
산과 계곡처럼 차이가 나지만 나이가 들면서 산은 낮아지고 계곡은 높아져 이런 일, 저린 일 모두가 비슷비슷해 진다는
것입니다
많이 가진 자의 즐거움이 적게 가진 자의 기쁨에 못 미치고 많이 아는 자의 만족이 못 배운 사람의 감사에
못 미치기도 하여 이렇게 저렇게 빼고 더하다 보면 마지막 계산은 비슷하게 되는 것이지요
우리가 교만하거나 자랑하지 말아야
할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우리가 친절하고 겸손하고 서로사랑해야 할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