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독서 에제키엘 1,2-5.24-28ㄷ 2 제삼십년 넷째 달 초닷샛날, 곧 여호야킨 임금의 유배 제오년에, 3 주님의 말씀이 칼데아인들의 땅
크바르 강 가에 있는, 부즈의 아들 에제키엘 사제에게 내리고, 주님의 손이 그곳에서 그에게 내리셨다. 4 그때 내가 바라보니, 북쪽에서
폭풍이 불어오면서, 광채로 둘러싸인 큰 구름과 번쩍거리는 불이 밀려드는데, 그 광채 한가운데에는 불 속에서 빛나는 금붙이 같은 것이 보였다.
5 또 그 한가운데에서 네 생물의 형상이 나타나는데, 그들의 모습은 이러하였다. 그들은 사람의 형상과 같았다. 24 그들이 나아갈 때에는
날갯소리가 들리는데, 마치 큰 물이 밀려오는 소리 같고 전능하신 분의 천둥소리 같았으며, 군중의 고함 소리, 진영의 고함 소리 같았다. 그러다가
멈출 때에는 날개를 접었다. 25 그들 머리 위에 있는 궁창 위에서도 소리가 들려왔다. 그러다가 멈출 때에는 날개를 접었다. 26
그들의 머리 위 궁창 위에는 청옥처럼 보이는 어좌 형상이 있고, 그 어좌 형상 위에는 사람처럼 보이는 형상이 앉아 있었다. 27 내가 또
바라보니, 그의 허리처럼 보이는 부분의 위쪽은 빛나는 금붙이와 같고, 사방이 불로 둘러싸인 것 같았다. 그리고 그의 허리처럼 보이는 부분의
아래쪽은 불처럼 보였는데, 사방이 광채로 둘러싸여 있었다. 28 사방으로 뻗은 광채의 모습은, 비 오는 날 구름에 나타나는 무지개처럼 보였다.
그것은 주님 영광의 형상처럼 보였다. 그것을 보고 나는 얼굴을 땅에 대고 엎드렸다. 복음 마태오 17,22-27 22 제자들이 갈릴래아에 모여 있을 때에 예수님께서 그들에게 이르셨다. “사람의 아들은 사람들의 손에
넘겨져 23 그들 손에 죽을 것이다. 그러나 사흗날에 되살아날 것이다.” 그러자 그들은 몹시 슬퍼하였다. 24 그들이 카파르나움으로 갔을
때, 성전 세를 거두는 이들이 베드로에게 다가와, “여러분의 스승님은 성전 세를 내지 않으십니까?” 하고 물었다. 25 베드로가
“내십니다.” 하고는 집에 들어갔더니 예수님께서 먼저, “시몬아,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세상 임금들이 누구에게서 관세나 세금을 거두느냐?
자기 자녀들에게서냐, 아니면 남들에게서냐?” 하고 물으셨다. 26 베드로가 “남들에게서입니다.” 하고 대답하자 예수님께서 이르셨다.
“그렇다면 자녀들은 면제받는 것이다. 27 그러나 우리가 그들의 비위를 건드릴 것은 없으니, 호수에 가서 낚시를 던져 먼저 올라오는 고기를 잡아
입을 열어 보아라. 스타테르 한 닢을 발견할 것이다. 그것을 가져다가 나와 네 몫으로 그들에게 주어라.”
지난 5월, 저는 팔 골절로 병원에 다녔던 적이 있었습니다. 그때 병원의 X-Ray
검사실 앞에서 느꼈던 일을 하나 말씀드릴게요.
X-Ray를 찍기 위해서 검사실 앞에서 제 차례를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사람이
너무나 많았고, 저는 심심해서 진열되어 있는 잡지를 꺼내 보았습니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잡지 속의 많은 것들이 언젠가 본 듯 낯익은 것이에요.
이상한 느낌이 들어서 얼른 앞표지를 보았지요. 작년 잡지였습니다. 그리고 저는 이 잡지를 작년에 보았던 적이 있었던 것이지요.
내용을 이미 다 알고 있는 잡지를, 그리고 새로움을 전혀 주지 못하는 잡지를 굳이 다시 읽을 필요가 없지요. 그래서 저는 잡지를
덮어서 다시 진열대에 꽂았습니다. 바로 그 순간에 이런 생각이 들더군요.
이미 읽었기 때문에 많은 내용을 알고 있는 이 잡지처럼
세상의 앞일을 미리 알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그러면 오해나 착각으로 인한 실수도 하지 않을 텐데 말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이유로 사람들이
점을 보러 철학관을 다니고 굿을 하는 것이 아닐까 싶더군요.
그런데 곧바로 이런 생각도 나는 것입니다. 제가 잡지를 곧바로 덮어서
다시 보지 않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이미 알고 있어서 어떤 새로움을 얻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나의 앞일을 미리 알아버린다면 가슴
설레게 하는 새로움을 간직할 수 있을까요? 아니지요. 내가 보았던 잡지라고 곧바로 덮어버린 것처럼, 나의 삶도 지겨워서 덮어버리고 싶을
것입니다.
따라서 비록 나의 앞일을 알 수 없지만, 새롭게 다가오는 삶 그래서 가슴 설레게 할 수 있는 삶을 사는 것이 훨씬
우리를 행복으로 이끌어주는 것이지요.
바로 이것이 주님께서 우리에게 행하시는 또 다른 배려가 아닐까요? 우리를 참된 행복으로
이끌어주는 배려인 것이지요.
사실 얼마나 부족한 우리들입니까? 그래서 실수도 얼마나 많이 합니까? 우리를 사랑하시는 주님께서는
그렇게 실수를 하면서 다른 길로 가고 있는 우리의 모습을 보면서 얼마나 가슴이 아프실까요? 따라서 실수하기 전에, 그리고 다른 길로 가기 전에
우리의 방향을 바꾸시고 싶으실 것 같습니다. 그러나 이것이 우리를 참된 행복으로 이끌어 주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꾹 참으시는 것이지요.
예수님의 배려는 성서에서도 너무나 많이 나오지요. 오늘 복음만 봐도 그렇습니다. 제자들이 예수님의 수난과 죽음을 조금이라도 잘
받아들이게 하기 위해서 미리 말씀해주시는 배려를 행하십니다. 또한 사람들과의 시빗거리를 만들지 않기 위해서 내지 않아도 되는 세금을 내시는
배려의 모습도 보여주십니다.
이렇게 항상 우리 인간들을 배려하시는 주님이십니다. 그런데 주님의 이런 배려를 우리는 얼마나
받아들이고 있었을까요? 그런 배려는 전혀 생각하지 않으면서 주님께서는 ‘나만 미워한다’는 극단적인 생각만 사람들에게 표현하고 있는 것은
아니었을까요?
주님의 배려하시는 모습을 하나하나 따져보십시오. 그만큼 여러분은 사랑받고 있습니다.
남을 배려합시다.
사랑차 끓이는
방법('좋은 글' 중에서) - 재료를 준비하세요.
1. 분노의 뿌릴르 잘라 내고 잘게
다진다.
2. 고민과 자존심을 속에서 빼낸 후 씻어 다진다.
3. 짜증은 껍질을 벗겨 반으로 토막낸 후, 넓은
마음으로 절여둔다.
-이제 끓여 볼까요?
4. 주전자에 실망과 미움을 한 컵씩 붓고, 씨를 빼낸 후 불만을 푹 끓인다.
5. 미리 준비된 재료에 인내를 첨가해, 재료가 다 녹아 쓴맛이 없어지기까지 충분히 달인다.
6. 감사와 기쁨을 잘
젓고 미소를 몇 개 예쁘게 띄운 후, 사랑의 잔에 부어 따뜻하게 마시면 된다.
-사랑차 한 잔으로 기분이 좋아지셨나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