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독서 에제키엘 12,1-12 1 주님의 말씀이 나에게 내렸다. 2 “사람의 아들아, 너는 반항의 집안 한가운데에서 살고 있다.
그들은 볼 눈이 있어도 보지 않고, 들을 귀가 있어도 듣지 않는다. 그들이 반항의 집안이기 때문이다. 3 그러니 너 사람의 아들아, 유배
짐을 꾸려 대낮에 그들이 보는 앞에서 유배를 가거라. 그들이 보는 앞에서 네가 사는 곳을 떠나 다른 곳으로 유배를 가거라. 행여 자기들이 반항의
집안임을 그들이 깨달을지도 모른다. 4 너는 짐을 유배 짐처럼 싸서 대낮에 그들이 보는 앞에서 내어 놓았다가, 저녁에 그들이 보는 앞에서 유배를
떠나듯이 떠나라. 5 그들이 보는 앞에서 벽을 뚫고 나가라. 6 너는 어두울 때에 그들이 보는 앞에서 짐을 어깨에 메고 나가는데, 얼굴을
가리고 땅을 보지 마라. 나는 너를 이스라엘 집안을 위한 예표로 삼았다.” 7 나는 명령을 받은 대로 하였다. 짐을 유배 짐처럼 싸서
대낮에 내어 놓았다가, 저녁에 손으로 벽을 뚫고, 어두울 때에 그들이 보는 앞에서 짐을 어깨에 메고 나갔다. 8 이튿날 아침에 주님의
말씀이 나에게 내렸다. 9 “사람의 아들아, 저 반항의 집안인 이스라엘 집안이, ‘지금 무엇을 하고 있습니까?’ 하고 너에게 묻지 않았느냐?
10 그들에게 말하여라. ‘주 하느님이 이렇게 말한다. 이 신탁은 예루살렘에 있는 수장과 그 안에 있는 온 이스라엘 집안에 관한 것이다.’
11 너는 또 말하여라. ‘나는 여러분을 위한 예표입니다. 내가 한 것과 똑같은 일이 그들에게 일어날 것입니다. 그들은 유배를 당해
끌려갈 것입니다.’ 12 그들 가운데에 있는 수장은 어두울 때에 짐을 어깨에 메고, 사람들이 그를 내보내려고 벽에 뚫어 놓은 구멍으로 나갈
것이다. 그는 자기 눈으로 그 땅을 보지 않으려고 얼굴을 가릴 것이다.” 복음 마태오 18,21―19,1 21 그때에 베드로가 예수님께 다가와, “주님, 제 형제가 저에게 죄를 지으면 몇 번이나 용서해 주어야
합니까? 일곱 번까지 해야 합니까?” 하고 물었다. 22 예수님께서 그에게 대답하셨다. “내가 너에게 말한다. 일곱 번이 아니라 일흔일곱
번까지라도 용서해야 한다. 23 그러므로 하늘 나라는 자기 종들과 셈을 하려는 어떤 임금에게 비길 수 있다. 24 임금이 셈을 하기
시작하자 만 탈렌트를 빚진 사람 하나가 끌려왔다. 25 그런데 그가 빚을 갚을 길이 없으므로, 주인은 그 종에게 자신과 아내와 자식과 그
밖에 가진 것을 다 팔아서 갚으라고 명령하였다. 26 그러자 그 종이 엎드려 절하며, ‘제발 참아 주십시오. 제가 다 갚겠습니다.’ 하고
말하였다. 27 그 종의 주인은 가엾은 마음이 들어, 그를 놓아주고 부채도 탕감해 주었다. 28 그런데 그 종이 나가서 자기에게 백
데나리온을 빚진 동료 하나를 만났다. 그러자 그를 붙들어 멱살을 잡고 ‘빚진 것을 갚아라.’ 하고 말하였다. 29 그의 동료는 엎드려서,
‘제발 참아 주게. 내가 갚겠네.’ 하고 청하였다. 30 그러나 그는 들어주려고 하지 않았다. 그리고 가서 그 동료가 빚진 것을 다 갚을 때까지
감옥에 가두었다. 31 동료들이 그렇게 벌어진 일을 보고 너무 안타까운 나머지, 주인에게 가서 그 일을 죄다 일렀다. 32 그러자
주인이 그 종을 불러들여 말하였다. ‘이 악한 종아, 네가 청하기에 나는 너에게 빚을 다 탕감해 주었다. 33 내가 너에게 자비를 베푼 것처럼
너도 네 동료에게 자비를 베풀었어야 하지 않느냐?’ 34 그러고 나서 화가 난 주인은 그를 고문 형리에게 넘겨 빚진 것을 다 갚게 하였다.
35 너희가 저마다 자기 형제를 마음으로부터 용서하지 않으면, 하늘의 내 아버지께서도 너희에게 그와 같이 하실 것이다.” 19,1
예수님께서는 이 말씀들을 마치시고 갈릴래아를 떠나, 요르단 건너편 유다 지방으로 가셨다.
제가 살고 있는 강화도는 자전거 도로가 그래도 잘 되어 있는 편입니다. 그래서인지
휴일이면 자전거를 타는 사람들을 많이 볼 수 있게 됩니다. 특히 저는 매일 아침마다 자전거를 타기 때문에 자전거 타는 사람들을 특히 많이 만나게
되지요.
얼마 전 휴일에 있었던 일입니다. 이 날 저는 아침에 운동을 하지 못했기에 오후에 복장을 갖추고 성지를 나섰습니다.
그런데 얼마 지나지 않아서 저와 같은 방향으로 자전거를 타고 있는 한 무리를 만날 수 있었습니다. 같은 운동을 하는 사람들이기 때문에 너무나
반가웠습니다. 하지만 이런 생각도 잠시, 그들이 너무나 신경 쓰였습니다. 왜냐하면 그들은 너무나 천천히 자전거를 타고 있었거든요. 더군다나 그
도로에는 차들이 너무나 많이 지나가고 있어서 추월을 할 수도 없었습니다.
답답했지요. 화도 났습니다. 이분들에 대한 미움도
생겼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미움의 감정이 생기고 화가 난다고 하더라도 지금의 이 상황이 바뀌지는 않더군요. 그러면서 이런 마음을 갖게 되는 제
자신이 더 미워지는 것이었습니다. 괜히 손해 보는 느낌이었습니다. 그래서 얼른 마음을 가다듬고 이 날은 그냥 자연 경관을 즐기기로 작정을
했습니다. 그리고 제 앞에서 자전거 타시는 분들의 속도에 보조를 맞추면서 주변의 경관을 바라보면서 천천히 자전거를 탔습니다.
저는
이날 가장 재미있는 시간을 보낼 수 있었습니다. 전에 빨리 달리면서 보지 못했던 경관도 볼 수 있었으며, 천천히 달리는 그 맛도 너무나 좋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어떤 책에서인가 읽었던 인상 깊은 구절이 생각납니다.
“사람은 이해의 대상이지, 판단의
대상이 아니다.”
그런데 우리들은 너무나 자주 사람을 이해의 대상이 아니라, 판단의 대상으로만 바라보았던 것은 아니었을까요? 그
결과는 내 자신을 더욱 더 힘들게 만들어 버리는 부정적인 모습만을 가져온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할 것입니다. 그래서 예수님도 사람이 판단의
대상이 아니고 이해의 대상이라는 것을 분명히 하기 위해 이런 말씀을 하신 것이 아닐까요?
“일곱 번이 아니라 일흔일곱 번까지라도
용서해야 한다.”
판단의 대상으로만 사람을 본다면 이렇게 용서할 수 없겠지요. 어쩌면 단 한 번도 용서할 수 없을 것입니다. 하지만
이해의 대상으로 바라본다면 일곱 번이 아니라 일흔일곱 번까지도, 아니 그 이상도 용서할 수 있는 것이지요.
이해하려고 하면
이해하지 못할 것은 하나도 없습니다. 단지 그 판단의 대상으로 보려는 못된 마음 때문에 ‘이해할 수 없다’고 쉽게 단정 짓고 있는 것은
아닐까요?
상대방보다 먼저 반가운 인사를
합시다.
안녕하세요,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미안합니다('사랑의 리퀘스트' 중에서) 생텍쥐페리의 '어린왕자'를
읽다보면 이런 말이 나옵니다.
세상에서 가장 어려운 일이 뭔지 아니? '흠... 글쎄요, 돈버는 일? 밥 먹는
일?' "세상에서 가장 어려운 일은 사람이 사람의 마음을 얻는 일이란다. 각각의 얼굴만큼 다양한 각양각색의 마음을 순간에도 수만 가지의
생각이 떠오르는데 그 바람 같은 마음이 머물게 한다는 건 정말 어려운 거란다."
바람같이 잡히지도, 잡을 수도 없는 게 사람의
마음이라지요. 무심코 던진 한 마디 말에 친구의 마음을 아프게 할 수도, 의도하지 않았는데 타인을 화나게 할 수도 있는 게 '말'입니다. 마음과
마음을 이어주는 가장 간단하고 어려운 말, "안녕하세요,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미안합니다."
오늘 하루, 몇 번이나
하시겠습니까?
'말로 천냥 빚도 갚는다'는 옛말이 생각나는 하루입니다. 내가 던지는 한 마디의 말이 상대방의 하루를 좌지우지
할 수 있다는 사실. 그녀 혹은 그의 마음을 얻을 수도 잃을 수도 있습니다. 가끔은 상대방이 내 마음을 몰라주어 답답할 때도 있지요.
하지만 나의 마음을 먼저 열고, 따뜻한 말 한마디 건네는 우리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세상에서 가장 어려운, '사람의 마음'을
얻는 일. 간간한 인사부터 시작해 보는 건 어떨까요?
"좋은 아침이네요. 행복한 하루 되세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