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 Lord/† 聖人들의 삶을 통해서

성 헤리베르토 (3월 16일) 주교

ohjulia 2006. 3. 16. 10:15
고향으로 , 성 헤리베르토
 

    성 헤리베르토(St. Heribert) 주교

    성인의 활동지역 : 쾰른(Koln) 성인의 활동연도 : 970-1021년 성인과 같은이름 : 헤르베르또, 헤르베르뚜스, 헤르베르토, 헤르베르투스, 헤리베르또, 헤리베르뚜스, 헤리베르투스 독일의 보름스(Worms) 태생인 성 헤리베르투스(또는 헤리베르토)는 프랑스 북동부 로렌(Lorraine)의 고르즈(Gorze) 수도원에서 공부한 뒤 고향으로 돌아와서 사제로 서품되었다. 그는 신성 로마제국의 황제 오토 3세(Otto III)의 재상으로 있다가 998년에 쾰른의 대주교로 선출되었다. 그는 라인(Rhein)의 도이츠(Deutz)에 수도원을 세우는 한편 평화의 전달자로 크게 활약하였고, 성직자의 규율을 엄히 다스렸을 뿐만 아니라 빈민구제에 온힘을 기울였다. 그는 이상적인 주교의 모범으로서 공경을 받고 있다. (성바오로수도회홈에서) 옛부터 정치가로서 성인이 된 사람은 비교적 적다. 그러나 이러한 사람은 위로는 군주에게 충성을 다하고, 아래로는 백성을 돌보며 국가를 안녕하게 인도했으니, 성 헤리베르토도 그런 위대한 인물 중의 한 사람이었다. 그는 790년경 독일의 보름스의 후작가(侯爵家)에서 태어나 그곳 주교좌 성당 부속학교에서 교육을 받고 그 뒤 로드 링겐 주 고르즈에 있는 베네딕토 수도원에서 연구를 계속하다가 귀향 후 히르데바르토 주교에게 서품을 받고 대성당의 주임사제가 되는 한편, 그 시의 이탈리아 정책국(政策局)에 근무하게 되었다. 그러던 중 독일 황제 오토 3세가 보름스에 행차했을 때 헤리베르토의 재능이 발견되어 시종(侍從)에 임명되고 그 뒤 늘 황제를 수행하며 봉사하게 되었다. 다른 시종들은 제 관직이나 지위를 이용해 자신의 사리사욕만을 채우고 있었지만 헤리베르토만은 오로지 봉사의 정신으로 황제의 신변을 염려하고 나라를 위하는 마음 외에는 아무 것도 없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오토 황제는 깊이 그의 충성을 기특하게 생각하고 그를 유르드부르크의 주교로 임명하려 했으나 겸손한 그는 완강히 이를 사양했다. 그런데 999년 마침 게룬의 대주교 에베르게리오가 서거한 것을 기회로 또다시 그의 후계자로 지목을 받아, 쾰른의 성직자나 신자들은 합심해 드를 추대하고 황제도 그의 취임을 원했으며 교황 실베스테르 2세도 그를 정식으로 퀼른의 대주교로 임명했으므로 비록 헤리베르토 일지라도 이번만은 거절할 길 없어 때마침 머물던 라벤나에서 퀼른으로 향했다. 그는 엄동설한에 누더기 옷을 걸치고 맨발로 그 시(市)로 들어갔던 것이다. 선임자 에베르게리오는 성직자로서 맞지 않은 사치를 즐기던 사람이었던만큼 대단히 호화스러운 생활을 했으므로 신자들은 신임 대주교의 이런 검소한 모습을 보고 매우 감동했다고도 하지만, 실제 헤리베르토의 일상 생활은 빈민의 아버지, 수도자의 보호자, 영혼의 착한 목자로서 손색이 없었던 것이다. 1002년 오토 황제가 이탈리아를 방문했을 때 헤리베르토도 그를 수행했지만 불행히 황제는 중병에 걸려 비테르보 지장에서 승하했다. 이때에 성사를 주고 황제의 마음을 편안하게 하며 임종에 대한 교회의 기도문을 외우며 그의 명복을 위해 기도하고 또한 온갖 장애를 무릅쓰고 유해를 독일에 운반해 아헨에 있는 가롤로 대제의 무덤 옆에 매장할 수 있도록 주선한 이는 실로 헤리베르토 바로 그분이었다. 그 뒤 곧 하인리히 2세가 제후들의 선거에 의해 당선되어 황제위에 올랐다. 그때 헤리베르토는 다른 이를 추천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쾌히 오토 황제에게 의탁받은 황제의 표시인 창을 하인리히에게 넘겨주었다. 그러한 일이 있은 후 그에 대해 모함하는 자가 있어서 황제는 그의 충성을 의심하고 그를 벌주기 위해 쾰른에 가게 되었다. 그러나 조사한 결과 그의 무죄함을 깨닫고 도리어 오랬동안 불의를 감수하여 온 그의 온순함에 감탄하고 그 후부터는 한층 더 그를 우대하게 되었다고 한다. 1021년 관할 내의 지방교회 시찰차 출발한 대주교 헤리베르토는 도중 중병을 얻어 쾰른에 돌아오지 않으면 안 되었다. 이로써 재기 불능을 각오한 그는 유산을 교회와 빈민 구제에 기부하도록 유언하고 “우리의 가난한 형제들이 곤궁을 당하지 말게 해 주소서”하고 기도하며 3월 16일에 세상을 떠났다. 그의 유해는 그가 친히 세운 독일의 수도원에 매장되었다. 로마 순교록에는 그를 완덕의 성인이라고 극구 찬양하고 있으며 이상적인 주교의 모델로서 공경받고 있다. (대구대교구홈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