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 Lord/† 聖人들의 삶을 통해서

안티오키아의 성 이냐시오 (10월 17일) 주교 , 순교자 , 저술가 ,교부

ohjulia 2006. 10. 17. 09:34
  안티오키아의 성 이냐시오
 

    안티오키아의 성 이냐시오 (St. IGNATIUS) 주교 , 순교자 , 저술가

    성인의 활동지역 : 안티오키아(Antiochia) 성인의 활동연도 : 35?-107년 성인과 같은이름 : 이그나티오, 이그나티우스, 이냐시우스 초창기의 교부이자 순교자로 일명 ‘테오포로스’(Theophoros, bearer of God) 라고도 불리는 성 이냐시오의 생애는 별로 알려진 것이 없다. 아마도 그는 시리아 출신인 듯하며, 성 요한(Joannes)의 제자였음이 분명하고 개종자이다. 그는 사도 베드로(Petrus)에 의하여 안티오키아 교회의 제2대 혹은 제3대 주교로 임명되어 축성되었다. 전설에 의하면 이냐시오는 40년 동안 교회를 다스리다가 트라야누스 황제의 그리스도교 박해 때에 체포되어 로마(Rome)로 이송되었다. 그를 호송하던 배는 소아시아 연안을 거쳐 그리스를 통과하여 마침내 로마에 당도하였다. 그의 배가 정박하는 곳마다 그리스도인들의 환영을 받았으나 호송 책임자는 그를 아주 잔인하게 대하였다고 한다. 그는 그 당시 어느 공식 경기의 마지막 날인 12월 20일 로마의 원형 극장에서 사자의 밥이 되어 장렬하게 순교하였다. 그는 로마로 끌려오는 동안에 여러 통의 편지를 썼고, 스미르나(Smyrna, 오늘날 터키의 이즈미르, Izmir)에 잠시 머무는 동안에서 성 폴리카르푸스(Polycarpus) 에게도 서한을 보내어 그리스도교 신앙을 보전하라고 권고하였다. 또 교회, 결혼, 삼위일체, 강생, 구속 그리고 성체성사에 관한 그의 교육적인 편지들은 초기 그리스도교 저서 가운데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역사적 문헌들이다. ***************************************************************************** 안티오키아의 주교, 초기 교회의 신학자. 시리아 출생으로 110년경 로마에서 순교하였다. 축일은 로마 전례력에서는 10월 17일. 희랍 정교회에서는 12월 20일. 그의 전반생은 알려져 있지 않은 데 안티오키아에서 개종한 뒤 그리스도 교인이란 명목으로 체포되어 사형언도를 받고 로마로 호송되었다. 호송 도중 스미르나에서 폴리카르포의 환영을 받았고 인근 교회에서도 문안자를 보내왔다. 이에 대한 답례로, 그는 스미르나에서 에페소, 마녜시아, 트랄레스교회 및 로마 교회로, 트로아스에서 필라델피아와 스미르나 교회, 폴리카르포에서 서간을 써 보냈다. 그의 서간은 7개의 진본이 전해진다. 로마인들에게 보낸 그의 편지는 사랑을 실천하고 있는 로마 교회에 대한 찬양이었고, 순교에 대한 갈망의 표현이었습니다. 성인은 순교를 그리스도에 대한 복종과 사랑에 의한 희생의 연장으로 봄으로써 순교자의 복음적 개념을 이루었습니다. 서간에서 가현설을 반박하여 그리스도의 참된 인성을 강조했고, 주교직에서 교회의 일치를 구체화 하였으며 그의 지역에서 군주제적 주교직을 관철시켰음을 알 수 있다. 그리스도가 아버지에게 했듯이 주교를 따르라고 했으며, 예수 그리스도가 있는 곳에 카톨릭 교회가 있는 것처럼 주교가 있는 곳에 교회가 있어야 한다고 하였다. 여기서 `카톨릭’이란 용어가 처음 사용되었다. 그는 사도 전통을 계승하는데는 실패했으나 사도 교부들 중 바울로의 사상과 요한의 사상을 결합하여 조화있게 발전시킨 독특한 실천 신학자로 평가된다. *가톨릭대사전에서. ***************************************************************************** 옛 전설에 의하면 성 이냐시오는 성 폴리카르포나 성 파피아와 같이 사도 성 요한의 제자였다고 한다. 그리고 어려서부터 이미 하느님께 간선된 자라고 전해진다. 즉 성서에, 예수께서 어느 날 제자들에게 겸손을 가르쳐 주실때 "누구든지 으뜸이 되고자 하는 사람은 모든 사람의 종이 되어야 합니다"(마르 10, 44)라 말씀하셨고, 또한 한 아이를 불러 이를 품에 안고 "하늘나라에서 가장 위대한 사람은 자신을 낮추어 이 어린이와 같이 되는 사람입니다"(마태 18,4)하고 말씀하셨는데, 이 행복된 아이가 바로 어린 이냐시오였다고 한다. 그는 24년경에 태어났으니 그때는 6,7세 가량 되었다고 생각된다. 그후 오래지 않아 주님의 이 말씀을 정결한 마음에 깊이 간직하여 일평생 잊지 않았다고 한다. 그가 안티오키아의 주교가 된 것은 69년으로 그가 45세 때의 일이다. 그후 오래지 않아 사방에서 그리스도교 신자의 박해가 시작되었지만, 이냐시오 주교는 한참동안 체포되지 않고 있었다. 이는 참으로 고마운 일로써 , 박해시에는 아무래도 신자들을 지도하고 위로하는 사람이 꼭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냐시오는 모든 신자들을 격려하여 그들에게 아버지와 같이 공경을 받았다. 안티오키아는 최초로 교회가 설립된 곳 중의 하나로, 성 바르나바 사도가 온 적도 있었고 성 바오로 사도가 강론한 적도 있었다. 그러므로 이곳은 여러모로 특별히 중요한 장소라 할 수 있다. 또 성 이냐시오는 이러한 사도들의 후계자로서 가장 적합한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연유로 그는 38년동안이나 안티오키아의 교회를 다스릴 수가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결국은 107년 83세에 이르러서 성인도 감금당하고 곧 법관앞에 끌려 나왔다. 재판관이 "그대의 이름은 무엇인가?"하고 묻자, 주교는 "데오포로라고 합니다"하고 대답했다. "그게 무슨 의미인가?" "하느님을 공경하라는 뜻입니다.그 이유는 나의 하느님의 성자인 예수 그리스도를 공경하기 때문이고, 그분의 나라는 영구히 계속되고 번영하는 것입니다." 이냐시오 주교는 사형선고를 받고 맹수의 밥이 될 예정이었다. 이 형벌은 극히 잔혹한 것이므로 로마의 시민권을 가진 이에게는 적용시키지 못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의 사형은 안티오키아에서가 아니라, 로마에서 집행하기로 되어 있었다. 그러므로 그는 10명의 포졸에게 끌려 배로 로마까지 호송되었는데, 그 바다의 여행에서 겪은 고통은 이루 표현할 수 없고, 또 포졸들의 학대가 얼마나 심했던지, 온화한 주교가 늑대라고 별명을 지을 정도였다. 그러나 인내심 많은 성 이냐시오는 티끌만큼도 불평스런 말을 한 때는 없었다. 배는 도중에서 여러 군데에 머물렀으므로 그는 그 기회를 이용해 편지를 정리하여, 방문하러 오는 신자에게 위탁하여 사방의 신자들에게 보내게 했다. 그러한 편지는 지금까지 보존되어 있는데, 사방의 신자들에게 보낸 것이므로 초대 교회의 신앙을 증명하는 귀중한 자료가 된다. 배에서 최초로 머무른 곳은 성 요한의 제자인 성 폴리카르포가 주교로 있는 스미르나였다. 이냐시오는 그곳에서 다행히 이 유명한 인물을 만날 수가 있었는데, 그때의 그의 즐거움이야 어떠했을까. 그는 또한 스미르나에서 자기가 바야흐로 가려고 하는 로마의 신자들에게 대해 유명한 서간을 쓰고 있었는데, 그중에 그는 자신을 예수 그리스도의 포로라고 칭하며 후에 포로로서 그들을 만나볼 것을 원하고 있다. 그리고 곧 그리스도를 위하여 생명을 바칠수 있는 행복을 기뻐하며 로마 신자들이 자기를 위해 감형(減刑)운동 같은 것을 하지 말기를 진심으로 원하고 있다. "나는 모든 교회에 편지를 쓰면서 여러분이 방해만 하지 않으면 내가 하느님을 위해 기꺼이 죽으러 간다고 모두에게 알렸습니다. 나의 간청입니다. 불필요한 호의를 나에게 베풀지 마십시오. 나를 맹수의 먹이가 되게 버려 두십시오. 나는 그것을 통해서 하느님께 갈 수 있는 것입니다. 나는 하느님의 밀알입니다. 나는 맹수의 이에 갈려서 그리스도의 깨끗한 빵이 될 것입니다. 이 맹수라는 도구를 통해서 내가 하느님께 봉헌된 희생제물이 될 수 있도록 그리스도께 기도하십시오. 나는 인생을 더 살고 싶지 않습니다. 여러분이 여기에 동의하면 내 원의는 이루어질 것입니다. 동의하십시오. 그러면 여러분의 원의도 하느님께서 이루어 주실 것입니다. 이 짤막한 편지로써 내가 여러분에게 그것을 청하고 있습니다. 나를 믿으십시오. 내가 진실로 말하고 있다는 것을 예수 그리스도께서 여러분에게 나타내 보이실 것입니다. 그리스도께서는 거짓말을 모르시는 입이며, 이 입을 통해서 성부께서 진실을 말씀하셨습니다. 나의 원의가 채워지도록 나를 위해 기도하십시오. 내가 육의 원의를 따라 이 편지를 쓰는 것이 아니라 하느님의 뜻을 따라 쓰는 것입니다. 내가 수난을 당한다면 여러분이 나에게 호의를 보인 것이고 수난에서 제외된다면 여러분이 나를 미워한 것입니다." 이와 같이 성스러운 주교는 거듭 자신의 순교를 방해하지 말도록 바라고 있는 것이다. 또한 그는 "이 세상과 현세의 국가는 나에게 아무런 가치가 있는 것이 아니다. 나는 전세계를 지배하는 것보다 그리스도를 위하여 생명을 바치는 것을 더 원하고 있다. 나는 아직 살아있으면서 여러분에게 편지를 쓰고 있지만, 죽음이야말로내가 가장 원하고 있는 것이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로마에의 여행은 아직도 계속되었다. 그는 트로아스에서 전에 수미르나에서 만난 성 폴리카르포에게 이별 인사의 편지를 썼다. 간신히 로마에 도착한 후 며칠도 못되어 그는 맹수 앞에 끌려나갔다. 허기진 맹수들은 순식간에 이 83세의 노(老)주교에게 달려들어 몇 조각의 뼈를 신자들이 주워 모아 정성껏 깨끗이 모시고 땅에 매장했다. 그러나 그 후 그것은 성 주교가 맡아보던 안티오키아로 옮겨지게 되었다.